2024년 건설경기 전망: 자금시장 불안 및 선행지표 악화 영향으로 건설투자 2.4% 감소
2024년 주택시장 전망: L자형 횡보세 속에 수도권 아파트 매매 1%, 전세 2% 내외 제한적 상승
대한건설정책연구원(김희수 원장)은 지난 21일, 전문건설회관 중회의실(4층)에서 개최된 “2024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2024년 국내 건설경기는 부진한 선행지표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연간 건설투자는 2.4%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내년 주택시장을 “불황형 안정세로 정의하며 가격, 거래, 공급이 동반 약보합세를 보여 수도권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은 L자형 횡보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선구 연구위원은 2023년 건설시장은 착공물량의 시차효과에 따라 건축 마감공사가 증가하며 당초 예상과 달리 건설투자의 증가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4년 건설경기는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며 금융시장 불안, 생산요소 수급 차질, 공사비 상승 등 부정적 요인이 부각될 경우 침체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건설물량의 시차효과로 인해 건설 선행공종은 2024년 저점, 후행공종은 2025년이 저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며, 전반적인 건설경기 회복은 고금리·고물가 등 거시경제 여건의 안정이 동반되어야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728x90
댓글